본문 바로가기
선박개론

선박도면- 선체선도의 구성요소 이해

by 하늘나무(SKYTREE) 2023. 3. 8.
728x90
반응형

1) 선도의 구성 요소

가) 기선(基線: Base Line)

평판용골(Flat Plate Keel)의 상면과 일치하고 계획흘수선에 평행한 수평면을 기준면으로 잡고 이 기준면을 정면도와 측면도에 투영한 직선. 영문약어로 B.L로 표시한다.

나) 수선(垂線: Perpendicular)

계획흘수선과 선수재의 전면과의 교차점에서 기선에 수직으로 세운 선을 전부수선((前部垂線: Forward Perpendicular)이라 하며, 타두재의 중심(타주를 가지는 배에 있어서는 타주후면)에서 기선에 수직으로 세운 선을 후부수선(後部垂線: After Perpendicular)이라 한다. 영문 약어로는 각각 F.P 또는 A.P로 표시하며, 이들간의 수평거리를 수선간장(垂線間長: Length Between Perpendicular, LBP)이라 한다.

다) 분할위치(分割位置: Square Station)

선도를 작성하여 그 선박의 독성을 수학적으로 계산하기 위하여는 각 단면을 일정한 간격에 의하여 분할되어야 한다. 선도는 일반적으로 A.P 와 F.P 사이를 10등분하여 표시하는 것이 보통이며, 이들의 각 위치를 분할위치라 한다. 수선사이의 길이 즉, LBP의 중앙에 있는 단면을 중앙횡단면(Midship Section)이라고 하며, 동 분할위치는 5에 속하고 보통 ○의 기호로 표시한다.

라) 수선(水線 : Water Line)

기선에 평행하게 일정한 높이의 간격으로 설치한 평면과 선체의 형면과 교차하는 선을 수선이라 한다. 영문 약어로는 W.L.로 표시하며, 측면도와 정면도에서는 직선으로 나타나고, 반폭도에서는 실형인 곡선으로 나타난다.

마) 버톡라인(Buttock Line)

배의 길이 방향의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너비의 간격으로 설치한 평면과 선체의 형면과 교차하는 선을 버톡라인이라 한다. 영문 약어로 B.L로 표시하며, 정면도와 반폭도에서는 직선으로 나타나고, 측면도에서는 실형인 곡선으로 나타난다.

 

2) 정면도(正面圖 : Body Plan)

정면도는 각 분할위치에서의 선체횡단면 (Square, Sation Line, Frane Line)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선체는 좌우 대칭형이므로 선체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측에는 선미부의 횡단면을, 우측에는 선수부의 횡단면을 도시한다.

< 횡단면의 특성 >

아래 그림에서 선박의 중심선상에 있는 점 K는 형면의 최하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지나서 그은 수평선 KB는 기선(B.L)이다. 거리 KA는 용골부 형면의 평탄부의 반폭으로서 평판용골을 가지는 선박에서는 크다. 

선AC를 선저선(Floor Line)이라고 하며, 거리BC를 선저경사(Deadrise, Rise of Floor)라 한다. 

선저선과 선측부가 연결되는 곡선부분 D를 만곡부(Turn of Bilge)과 하며, 이는 보통 원호로 되어 있고 이 원호의 반경을 만곡부반경(Bilge Radius)라 부른다. 

수면상부에서 현측의 형선이 내측으로 굽어지는 형상을 텀블홈(Tumble Home)이라 부르며, 그 반대의 형상을 플레어(Flare)라 부른다. 

아래 그림에서 점 F를 지나 기선에 평행하게 수평선을 그어 선체중심선과 만난 점 P에서 갑판의 정부 H까지의 거리 PH를 그 갑판의 캠버(Camber)라 부른다. 캠버는 주로 갑판상의 배수를 쉽게하고, 선체강도를 증가시키며, 선내공간을 증가시켜준다. 캠버는 일반적으로 그 횡단면에서의 선폭의 약 2%정도를 표준으로 하고 있으며, 선수.선미에서 는 선폭이 좁아짐에 따라 감소한다.

 

3) 측면도 (側面圖 : Sheer Plan)

측면도는 각 버톡위치에서의 선체 종단면 (Buttock Line)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선체중심선으로부터 한쪽 종단면만을 도시한다.

< 종단면의 특성 >

선체 종단면은 선수, 선미의 종단면 형사을 나타낼뿐 아니라 갑판의 현측선(Deck Side Line) 및 정부선(Deck Center Line)을 표시하므로서 선박의 건현(乾舷: Freeboard) 또는 현호(舷弧: Sheer)를 나타낸다. 건현은 어느 1횡단면에서의 흘수선에서 상갑판 현측선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하며, 배의 길이 방향의 위치에 따라 변화하고, 또한 트림의 영향을 받게 된다. 건현은 보통 선체의 중앙에서 가장 작고 선수미 쪽으로 갈수록 증가한다. 건현은 선박의 안전성과 복원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건현이 클수록 선박이 손상을 받았을 때 예비부력(豫備浮力: Reserve Buoyancy)이 많게 된다.

현호란 어떤 횡단면에서의 건현과 중앙횡단면에서의 건현과의 차이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표준 현호에서는 선수현호를 선미현호의 2배로하고 있으며, 이는 배가 거치른 파도속으로 항해 할 때 물이 배위로 덮치는 것을 방지하고, 선수 예비부력의 증가를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기 때문이다.

4) 반폭도 (半幅圖 : Half Breadth Plan) 

반폭도는 각 수선(水線) 위치에서의 선체평면(Water Line)의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서 선체중심선으로부터 한쪽 평면만을 표시한다. 이 반폭도에는 선체 곡선을 순정하고 교차선을 검토할 목적으로 세로방향의 수직중심선면으로부터 선체만곡부에 경사를 주고 설치한 보조절단평면인 Diagonal Plane을 표시하기도 한다.

5) 치수표 (Table of Offsets)

치수표는 각 분할위치에서의 각각의 곡선들을 수치화하여 표의 형식으로 배열한 것으로, 기선(基線, B.L)으로부터의 높이와 선체중심선으로 부터의 너비를 각각 표시하고 있다.

선박의 건조과정에서는 늑골(Frame)등과 같은 형상을 보다 정밀하게 얻기 위하여 현도장(Mold Loft)이라 불리우는 넓은 마루바닥에 실물크기로 선도를 다시 그려 순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오늘날에 있어서는 컴퓨터의 발달로 초기치수표를 이용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늑골위치에서의 선체 형면을 정의하는 순정된 실물의 치수표를 출력으로 얻을 수도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