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흘수 (吃水 : Draft)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분의 깊이를 흘수라 하며, 다음과 같은 흘수들이 있다.
가) 형흘수(型吃水; Monlded Draft)
하기의 흘수 중 어느 하나를 말하며, 선박의 순톤수 계산의 요소이다.
○ 발효중인 만재흘수선에 관한 국제협약이 적용되는 선박에 대하여는 그 협약에 따라 지정된 하기만재흘수선에 상당하는 흘수
○ 여객선에 대하여는 발효중인 SOLAS협약 또는 적용할 수 있는 기타 국제협약에 따라 지정된 구획만재흘수선에 상당하는 흘수
○ 만재흘수선에 관한 국제협약이 적용되지 아니하나 국내요건에 따라 만재흘수선이 지정된 선박에 대하여는 이에 의하여 지정된 하기만재흘수선에 상당하는 흘수
○ 만재흘수선이 지정되지 아니하나 국내요건에 따라 흘수가 제한되는 선박에 대하여는 최대허용흘수
○ 기타 선박에 대하여는 선체중앙에 있어서의 형깊이의 75퍼센트에 상당하는 흘수
나) Keel Draft
일반적으로 흘수라 하면 Keel Draft를 말하며, Keel의 하면으로부터 수면까지의 수직거리를 말한다. 이는 화물적재에 따른 복원성 산정시나 조선(操船)시 선박의 제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요소이다.
5) 흘수표 (吃水標: Draft Mark)
상기 Keel Draft를 나타내기 위하여 선수, 선미 또는 중앙부의 외부양측면에 선저로부터 최대흘수이상까지 20센터미터마다 10센티미터 크기의 아라비아숫자로 흘수의 치수를 표시하되 숫자의 하단은 그 숫자가 표시하는 흘수선과 일치하게 각 흘수표를 표시하도록 선박법과 어선법에서는 의무화(총톤수 20톤이상 선박에 한함)하고 있다. 선수흘수를 전부흘수(Fore Draft, df), 선미흘수를 후부흘수(Aft Draft, da)라 하며 중앙부흘수는 대형선에 있어 서 편의상 표시하고 있다. 전부흘수와 후부흘수의 평균을 평균흘수(Moan Draft)라 한다.
6) 트림(Trim)
배가 선수미 방향의 어느 쪽으로 기우는 것을 말한다. 후부흘수가 전부흘수보다 큰 것을 선미트림, 전부흘수가 후부흘수보다 큰 것을 선수트림이라 하며, 전부흘수와 후부흘수가 같은 것을 Even Keel이라 한다.
일반적으로 약간의 선미트림이 내항성과 타효율, 추진효율 등이 좋아 선박운항상 유리하며, 선수트림이 되면 속력이 감소되고 타효율이 나빠 실항속력이 감소하게 된다.

'선박개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박산법(심슨의 1법칙) (0) | 2023.03.12 |
---|---|
선박의 형상계수(방형계수, 주형계수, 중앙횡단면계수, 수선면계수, 수직주형계수) (0) | 2023.03.09 |
선박의 주요 치수 (0) | 2023.03.08 |
선박도면- 선체선도의 구성요소 이해 (0) | 2023.03.08 |
선박의 형상과 선체선도(LINES) 도면 보기 (0) | 2023.03.0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