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선박개론

선박개론-선형에 의한 선박의 분류

by 하늘나무(SKYTREE) 2023. 3. 8.
728x90
반응형

6) 선형(船型)에 의한 분류

가) 선루 및 갑판실의 배치방식

(1) 평갑판선(平甲板船 : Flush Deck Vessel)

상갑판을 Freeboard Deck로 하는 선박으로서, 선루를 가지지 아니하고 Engine Casing이나 Deck House와 같은 구조물을 가지는 선박

(2) 복갑판선(覆甲板船 : Awning Deck Vessel)

선루가 선수에서 선미까지 전통하여 있는 선박 (전통선루선)

(3) 차량갑판선(遮浪甲板船 : Shelter Deck Vessel)

외관은 복갑판선과 유사하나 최상층의 전통갑판 폭로부에 상설폐쇄장치를 갖추지 아니한 개구를 가진 선박

(4) 차양갑판선(遮陽甲板船 : Shade Deck Vessel)

선루와 선루사이를 갑판만으로 연결한 선박. 이 경우 상갑판과 제2갑판간의 선측외판에 큰 통풍용 개구가 있다.

(5) 장선수루선(長船首樓船 : Long Forecastle Vessel)

선수루와 선교루가 합쳐진 형을 가진 선박. 주로 소형선에서 볼 수 있으며 해난구조선이 이에 속한다.

(6) 저선수루선(低船首樓船 : Sunken Forecastle Vessel)

상갑판을 선수부에서 한단 낮추고 그 위에 선수루를 설치한 선박

(7) 저선미루선(低船尾樓船 : Raised Quarter Deck Vessel)

상갑판을 선미부에서 한단 낮추고 그 위에 선미루를 설치한 선박

(8) 요갑판선(凹甲板船 : Well Deck Vessel)

상갑판상에 선수루와 선미루를 가진 선박

(9) 삼도형선(三島型船 : Three Island Vessel)

상갑판상에 선수루, 선교루 및 선미루를 가진 선박

(10) 트렁크갑판선(Trunk Deck Vessel)

상갑판상에 철자(凸字) 모양의 Trunk를 가진 선박. 중소형의 유조선에 채용되고 있다.

나) 기관실의 배치방식

(1) 중앙기관실(中央機關船)

선체의 중앙부에 기관실을 배치한 선박. 공선상태나 만재시에 흘수의 조절이 용이하며, 상선의 표준형이다.

(2) 선미기관선(船尾機關船)

선미부에 기관실을 배치한 선박. Propeller Shaft가 짧아 Shaft Tunnel을 생략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공선시 선미 Trim이 발생되므로 선수 Ballast 등에 의하여 선박의 운항상태를 조절하여야하는 단점이 있다.

다) 선교의 배치방식

(1) 중앙선교선(中央船橋船)

선체의 중앙부에 항해선교(航海船橋 : Navigation Bridge)를 배치한 선박. 중앙기관선의 대부분이 이에 속한다. 그러나, 선미기관선에서도 이를 채용하고 있다.

(2) 선미선교선(船尾船橋船)

선미부에 항해선교를 배치한 선박. 소형 및 중형화물선중 선미기관선의 대부분이 이에 속한다. 근래에는 점차 대형화되어 산적화물선, 유조선 기타 운반선 등 전용선에 많이 채용되고 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