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관심46

선박산법(심슨의 1법칙) 4. 선박 산법(船舶算法) 선체가 복잡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있음을 앞에서 충분히 판단할 수 있었을 것이다. 복잡한 곡면으로 싸여 있는 선체는 구(球), 원통(圓筒), 각주(角柱) 등과 같은 단순한 기하학적 물체가 아니기 때문에 그 용적 또는 용적의 중심위치를 계산하기가 간단치 않다. 또한, 절단평면으로 얻은 수선면, 횡단면 같은 곡선도 간단한 대수학적인 수식으로 표현하기 불가능한 것들이다. 이런 곡선으로 싸여 있는 곡면의 면적, 용적 또는 그 중심위치를 계산하는데 있어서 조선공학에서는 2가지의 근사적분법(近似積分法)을 사용하고 있다. 하나는 계산에 의하여 구하는 방법이고, 다른 하나는 면적계(面積計; Planimeter)나 적기(積分器; Integlater)와 같은 기계를 이용하여 구하는 방법이다. 근래.. 2023. 3. 12.
선박의 형상계수(방형계수, 주형계수, 중앙횡단면계수, 수선면계수, 수직주형계수) 나. 형상계수 (Coefficients of Form) 선박을 건조함에 있어 기본설계단계에서 선체의 형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배수량과 주요치수를 이용한 몇 개의 계수를 사용한다. 이들 계수는 선체의 형상, 단면, 수선 등의 비척상태(肥瘠狀態)를 표시하는데 편리하다. 주요치수는 선체의 크기만을 정의하기 때문에 배의 형상개념만을 줄 뿐이다. 배가 폭과 깊이에 비하여 긴가 또는, 흘수가 폭에 비하여 큰가, 작은가 만을 알 뿐이지 선체형상의 비척도(肥瘠度)에 관한 정보는 주지 못한다.형상계수는 각 치수 들이 시험적으로 선정된 뒤 단면과 수선의 형상을 얻는데 있어서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1) 방형계수(方形係數; Block Coefficient) 주어진 수선까지의 선박의 형배수용적(▽) 과 수선의 길이(L) 형폭(.. 2023. 3. 9.
선박의 흘수와 트림 4) 흘수 (吃水 : Draft) 선박이 물에 잠기는 부분의 깊이를 흘수라 하며, 다음과 같은 흘수들이 있다. 가) 형흘수(型吃水; Monlded Draft) 하기의 흘수 중 어느 하나를 말하며, 선박의 순톤수 계산의 요소이다. ○ 발효중인 만재흘수선에 관한 국제협약이 적용되는 선박에 대하여는 그 협약에 따라 지정된 하기만재흘수선에 상당하는 흘수 ○ 여객선에 대하여는 발효중인 SOLAS협약 또는 적용할 수 있는 기타 국제협약에 따라 지정된 구획만재흘수선에 상당하는 흘수 ○ 만재흘수선에 관한 국제협약이 적용되지 아니하나 국내요건에 따라 만재흘수선이 지정된 선박에 대하여는 이에 의하여 지정된 하기만재흘수선에 상당하는 흘수 ○ 만재흘수선이 지정되지 아니하나 국내요건에 따라 흘수가 제한되는 선박에 대하여는 최대.. 2023. 3. 8.
선박의 주요 치수 3. 선박의 주요 치수 가. 주요치수(Principal Dimensions) 등 1) 선박의 길이 (Length) 가) 수선간장(垂線間長 : Length Between Perpendiculars, LBP) 전부수선(前部垂線, F.P)과 후부수선(後部垂線, A.P)사이의 수평거리. 이 길이는 선박의 초기설계시 사용된다. 나) 수선장(水線長 : Length on Load Water Line, LWL) 만재흘수선상에서 선수재의 전면으로부터 선미후단까지의 수평거리. 이 길이는 선체의 운동을 논할 때 사용된다. 다) 전장(全長: Length over all, LOA) 선체에 고정적으로 설치된 돌출물을 포함하여 선수최전단으로부터 선미 최후단까지의 수평거리. 이 길이는 입거(入渠) 접안(接岸)등 조선(操船)시 필요한.. 2023. 3.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