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관심46

톤수의 용도 다. 톤수의 용도 1) 과세의 표준 선박의 톤수제도는 크기가 다른 여러 선박에 대하여 공정한 과세표준(課稅標準)을 정하기 위하여 법률, 규칙 등을 제정하여 시행하고 있다. 옛날부터 선박에 세금을 부과하기 위한 기준으로서 선박안의 용적을 나타내는 톤수가 이에 적당하므로 총톤수와 순톤수가 사용되고 있다. 총톤수는 선박의 크기를 나타내며, 순톤수는 선박의 수익능력(收益能力)을 나타내므로 선박에 대한 세금 및 수수료는 이들 톤수를 기준으로 부과하고 있다. 재산세, 소득 세, 등록세, 총톤수측정수수료, 검사수수료, 검역수수료, 수선안내료, 도선료, 예선료, 선박보험료, 입거료, 상가료, 부두사용료, 운하통항료, 입항료, 정박료, 위생료, 항로표지이용료 등의 제반 수수료 및 사용료의 표준으로 이용되고 있다. 2) .. 2023. 3. 13.
용적톤수(총톤수, 순톤수, 운하톤수) 2) 용적톤수(容積톤數; Capacity Ton) 가) 총톤수(總톤數; Gross Tonnage) 선박전체의 용적에 일정한 계수를 곱하여 구한다. 종선의 선박적량측정법에 의한 총톤수(구총톤수)는 선박의 내부(늑골 또는 내장판의 내부)용적에 1000/353 m^3을 1톤으로 환산하여 구하였다. 1969년 선박톤수측정에관한국제협약의 시행일 이후에는 구총톤수를 산정하고 있지 아니하나 기존선박에서는 아직도 구총톤수로 등록된 선박이 존재하고 있다. 나) 순톤수(純톤數; Net Tonnage) 여객이나 화물의 운송에 제공되는 선박안의 장소의 크기를 나타내는 톤수로서, 화물적재장소의 합계용적에 일정한 계수를 곱하여 얻은 값과 여객수에 일정한 계수를 곱하여 얻은 값을 합하여 구한다. 다) 운하톤수(運河톤數; Canal.. 2023. 3. 13.
5. 선박의 톤수 가. 톤의 연혁 선박에서는 중량(重量)을 나타내는 단위와 용적(容積)을 나타내는 단위에 같은 Ton을 사용한다. Ton의 어원에는 Latin어의 Tunna(술통), 고대영어의 Tun(큰술통), 프랑스어의 Tonnean(포도주의 큰 술통) 등이 있다고 한다. 고대 유럽에서는 선박의 크기를 그 선박에 적재할 수 있는 포도주의 술통수로서 표시하고, 세금의 징수도 이것에 의하여 행하였다고 한다. 15세기 영국에서는 술통의 용량을 법률로서 정하고, 250갤런(gallon)이하의 것을 금하였으며 이 중량은 약 2,240파운드(pound)로서 용적이 약 40 ft^3 이었다고 한다. 선박의 적량(積量)을 처음에는 Tun 또는 Tunnage라고 불렀으나 이것이 점차 변하여 Ton 또는 Tonnage로 불리게 되었다. .. 2023. 3. 12.
배수량, 부심(부심의 위치), 매센티당배수톤(TPC) 라. 배수량(排水量; Displacement) 선박이 물에 떠 있을 때 배제한 물의 중량을 배수량이라한다. 아르키메데스의 원리에서 알 수 있듯이 배수량은 그 선박의 중량(重量)과 같다. 따라서, 선박이 떠 있는 수면까지의 배수용적에 그 선박이 떠 있는 물의 비중량(단위체적에 대한 중량)을 곱하면 그 수선으로 떠 있는 그 선박의 중량 즉, 배수중량을 얻을 수 있다. 해수의 비중은 해역에 따라 다르나 대략 1,020 ~ 1,030 의 범위에 있다. 일반적으로 그 평균값인 1,025를 사용한다. 어떤 흘수로 떠 있는 선박의 중량은 그 선박의 중량을 직접 계측하지 않고서도 그 수선까지의 용적만을 구함으로서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아래 그림에서 배수량을 심슨제1법칙을 적용하여 구하면 다음과 같은 산식으로 표현할 .. 2023. 3. 12.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