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표준어선의 장점과 단점에 대해 알아보자

by 하늘나무(SKYTREE) 2023. 12. 12.
728x90
반응형

표준어선에 대해 정확하게 알아봅니시다. 

우선 표준어선에 대해서 해양수산부와 한국해양교통공단의 블로그에 내용을 참고하기 바랍니다. 아래 내용에 대해 한번 정독을 하고 오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 

날 따라 해봐요 이렇게~♪ 제1호 표준어선 등..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날 따라 해봐요 이렇게~♪ 제1호 표준어선 등장!

사회가 발전할수록 표준은 더욱 중요해집니다. 서로 다른 규격이 난립하면 그만큼 기술의 진보가 더디기 때...

blog.naver.com

어업인을 위한 어선? 표준어선!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어업인을 위한 어선? 표준어선!

제게도 꿈은 있었습니다 ‘어부의 시낭송’으로 유명한 ‘낭만어부’ 고석길 선장님, 혹시 아시는 분? 그가...

blog.naver.com

 

 

위의 내용을 정독 하셨습니까? 

물론 안했을 꺼라고 생각합니다. 여러분은 말을 듣지 않으니까요...

 

표준어선은 어선의 복지공간을 확보했다고 합니다. 즉 어선이 종전어선에 대해 커졌다는 이야기입니다. 안전성을 향상했다고 합니다. 복원성을 기준을 면밀히 살펴 승인했다는 이야기입니다. 

즉, 표준어선은 이 전 어선에 비해 크기는 향상 안전성도 향상, 연료효율도 향상~~~ 다 좋다고 합니다. 

진짜 그럴까요????

해수부 블로그 내용의 일부 입니다. 꼼꼼히 따져 볼까요?

===================================================================

표준어선은 길이 33.2m, 폭 7.1m로 길이 32.5m, 폭 6.3m인 기존어선보다 길이는 줄어들고 폭은 넓어져서, 배의 안전성과 기울었을 때 원위치로 회복하는 복원성이 강화되었어요.

=>> 폭이 넓어지면 당연히 복원성은 좋아 지겠죠,  또한 복원성이 강화 되었다고 합니다. 복원성에 대한 언급은 길게 하지 않도록 하겠습니다. 폭이 넓어지면 속력이 빨라 질까요?? 아닙니다. 길이와 폭은 어선의 조업종류에 따라 정해지겠지만 폭이 늘어난다고 다 좋은 것은 아닙니다. 

바람이나 파도 등에 저항이 적어지면서 에너지 효율이 높아졌기 때문에 유류비도 7%나 절감되는 효과도 나타났다고 해요.

​==> 왜 저항이 적어집니까? 더 커진다고 봐야 할지 않을까요? 복지공간이 커졌습니다. 이는 상부구조물의 풍압면적이 더 커진것이므로 저항이 커졌을 것입니다.  역시 폭이 넓어졌습니다. 저항값이 커졌죠 , 유류비가 절감되었다는 객관적인 근거는 해수부가 내놓지 못할껍니다. 표준어선을 건조해 조업을 하는 어선선주님의 말을 들어보시기 바랍니다. 속력 안납니다. 당연히 유류 더 많이 소모됩니다. 

표준어선은 지하에 있던 선원실을 지상으로 올리고 출입로를 넓혀서, 비상상황이 발생했을 때 선원들이 쉽게 탈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선원실에는 침대를 배치하고 화장실에는 독립된 공간의 좌변기를 설치해 선원들이 더욱 쾌적한 선내 거주 환경을 누릴 수 있도록 개선되었어요.

​==> 이건 인정, 하지만 현실은 별로 달라진게 없습니다. 

거기에 선원들의 복지를 위해 약 15m²의 공간을 추가로 설치하고, 이 복지공간이 어업을 위한 공간으로 변질되지 않도록 외벽을 설치해 철저히 관리하도록 하는 방침이 마련되었습니다.

==> 아...그렇군요

표준어선의 등장은 노후 선박들의 교체로 이어져 해양환경도 정비하는 효과도 불러왔습니다.

==> 무슨말일까요 ??  

==========================================================

결론 내립니다.

표준어선

장점 : 상부구조물을 기존어선에 비해 크게 지을 수 있다. 

단점 : 크게 짓는 만큼 선가가 비싸진다.

          연료를 많이 먹는다(무거워 지니까),

           스피드가 안난다(폭이 넓고 심이 깊어어 지니까)

표준어선은 잘 알아보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실제 조업하시는 선장님들은 표준어선 후회 하십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